본문 바로가기
  • A collecion of useful information
카테고리 없음

유득공의 발해고(渤海考)

by 정보765 2025. 1. 3.

유득공(柳得恭, 1748~1807)의 발해고는 조선 후기 실학 시대에 쓰인 역사서로, 발해(渤海)의 역사를 본격적으로 조명한 저술입니다. 조선 시대 역사학의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받으며, 한국사에서 발해의 위상을 재정립한 획기적인 저작으로 꼽힙니다.

사진출처:kyeonggi.com

 


1. 저술 배경

가. 발해사 인식의 변화

  • 조선 전기에는 발해의 역사가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어졌습니다. 이는 고려와 조선의 사서들이 고려를 신라의 계승국으로 인식한 데 기인합니다.
  • 그러나 조선 후기 실학자들은 민족적, 학문적 자부심을 바탕으로 발해사를 한국사의 중요한 일부로 보아야 한다는 인식을 강화했습니다.

나. 실학적 역사관

  • 실학자들은 기존의 사대주의적 역사관에서 벗어나, 실증적이고 비판적인 방법으로 역사를 연구했습니다.
  • 유득공 역시 이러한 실학적 역사관을 바탕으로 발해고를 저술하여 발해를 한국사로 복원하려 했습니다.

다. 유득공의 학문적 배경

  • 유득공은 실학의 대표적인 학자였으며, 특히 역사학과 지리학에 관심이 많았습니다.
  • 그는 발해사를 연구하면서 중국 사서와 지리서를 참고하여 발해의 역사적 위상을 재조명했습니다.

2. 발해고의 구성

가. 총 10개 항목으로 구성

  • 발해고는 발해의 역사, 지리, 문화, 정치 체제를 다양한 주제로 분석한 다음과 같은 10개의 항목으로 구성됩니다:
    1. 왕실 계통: 발해 왕조의 계보와 정통성 논의.
    2. 성립 배경: 발해 건국의 역사적 맥락.
    3. 정치 제도: 발해의 행정 구조와 관직 체계.
    4. 지리: 발해의 영토와 주요 도시.
    5. 군사: 발해의 군사력과 국방 체계.
    6. 문화와 교류: 발해의 문화적 특징과 대외 교류.
    7. 멸망 원인: 발해가 멸망한 정치적, 군사적 이유.
    8. 유민의 활동: 발해 멸망 후 유민들의 동향과 영향.
    9. 중국 사료의 분석: 중국 사서에 나타난 발해의 모습.
    10. 역사적 평가: 발해의 한국사 내 위치와 의의.

나. 실증적 서술 방식

  • 유득공은 발해에 관한 중국 사서(구당서, 신당서, 책부원구 등)와 발해 유민들의 기록을 분석하여 객관적이고 실증적인 역사 서술을 시도했습니다.

3. 발해고의 주요 내용과 특징

가. 발해사의 독립적 중요성 주장

  • 유득공은 발해를 고구려의 계승 국가로 보고, 한국사의 일부로서 독립적이고 중요한 지위를 가졌다고 강조했습니다.
  • 발해와 신라가 남북으로 나뉘어 공존했던 시기를 **"남북국 시대"**로 정의했습니다.

나. 중국 중심 역사관의 비판

  • 중국 사서에서 발해를 당나라의 속국으로 기술한 내용을 비판하며, 발해가 당과 독립적으로 교류한 자주적 국가였음을 강조했습니다.

다. 고구려 계승성 강조

  • 발해는 고구려의 유민이 세운 나라로, 고구려의 문화를 계승했으며 이를 통해 한반도 북방사의 연속성을 확인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라. 발해의 문화적 우수성 부각

  • 발해가 당시 동아시아에서 뛰어난 문화와 문명을 이룩했으며, 특히 당나라와의 교류에서 높은 수준의 외교와 문화를 보여줬음을 서술했습니다.

4. 발해고의 역사적 의의

가. 발해사를 한국사로 재정립

  • 발해사를 한국사로 복원한 최초의 체계적 연구서로, 이후 발해사 연구의 토대를 마련했습니다.
  • "남북국 시대" 개념은 오늘날 한국사 교육의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나. 민족적 자부심 고취

  • 유득공은 발해사를 통해 조선인이 고구려와 발해를 잇는 민족적 자긍심을 가질 것을 강조했습니다.

다. 실학적 역사학의 완성

  • 발해고는 실학적 역사 연구의 대표작으로, 객관적이고 실증적인 역사 서술의 모범을 제시했습니다.

5. 현대적 평가와 연구의 영향

가. 한국사와 동아시아사의 연계

  • 발해고는 발해사를 통해 한국사와 동아시아사를 연결하는 중요한 학문적 작업으로 평가됩니다.

나. 발해사 연구의 기초

  • 이후 근대와 현대의 발해사 연구는 유득공의 발해고를 토대로 발전했습니다.

다. 역사 인식의 확장

  • 발해사를 한국사로 인식하지 않았던 시각을 극복하고, 역사 인식을 확장시킨 기념비적 저작으로 평가됩니다.

Yu Deuk-gong's "Balhaego" (渤海考)

Balhaego by Yu Deuk-gong (柳得恭, 1748-1807) is a historical text written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in the era of Silhak (practical learning), focusing on the history of Balhae (渤海). It marks a significant turning point in Joseon-era historiography, re-establishing Balhae's importance within Korean history.

1. Background of Authorship

  • Change in Perception of Balhae History: During early Joseon, Balhae's history was relatively neglected as historical texts from Goryeo and Joseon considered Goryeo as the successor state to Silla. However, late Joseon Silhak scholars strengthened the view that Balhae should be regarded as an important part of Korean history, driven by national and scholarly pride.
  • Silhak Historical Perspective: Silhak scholars broke away from the traditional Sinocentric historical perspective, studying history with empirical and critical methods. Yu Deuk-gong, following this Silhak perspective, wrote Balhaego to restore Balhae within Korean history.
  • Yu Deuk-gong's Academic Background: Yu Deuk-gong was a leading Silhak scholar with a particular interest in history and geography. His study of Balhae involved referencing Chinese historical texts and geographical documents, aiming to reevaluate Balhae's historical significance.

2. Structure of Balhaego

  • Composed of Ten Sections: Balhaego consists of ten sections analyzing various aspects of Balhae's history, geography, culture, and political system:
    1. Royal Lineage: Discussion on the genealogy and legitimacy of the Balhae royal family.
    2. Founding Background: Historical context of Balhae's establishment.
    3. Political System: Administrative structure and official ranks of Balhae.
    4. Geography: Territory and major cities of Balhae.
    5. Military: Military strength and defense system of Balhae.
    6. Culture and Exchang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foreign relations of Balhae.
    7. Causes of Fall: Political and military reasons for Balhae's collapse.
    8. Activities of Exiles: Movements and influence of Balhae's exiles after its fall.
    9. Analysis of Chinese Records: Depictions of Balhae in Chinese historical texts.
    10. Historical Evaluation: Position and significance of Balhae within Korean history.
  • Empirical Writing Style: Yu Deuk-gong employed empirical and objective methods in historical writing, analyzing records from Chinese historical texts (such as the Old Book of Tang, New Book of Tang, and the Encyclopedic History of the Tang Dynasty) and Balhae exiles' documents.

3. Key Content and Features of Balhaego

  • Advocating Independent Importance of Balhae History: Yu Deuk-gong viewed Balhae as the successor state to Goguryeo, emphasizing its independent and significant status within Korean history. He defined the period of coexistence between Balhae and Silla as the "Era of the Northern and Southern States."
  • Critique of Sinocentric Historiography: Criticized the depiction of Balhae as a subordinate state to Tang China in Chinese records, asserting that Balhae was an independent state that maintained autonomous relations with Tang.
  • Emphasis on Goguryeo Succession: Argued that Balhae, established by Goguryeo exiles, continued Goguryeo's culture, thereby affirming the continuity of northern Korean history.
  • Highlighting Cultural Excellence of Balhae: Described Balhae as having achieved an advanced culture and civilization in East Asia, showcasing high levels of diplomacy and culture in interactions with Tang.

4. Historical Significance of Balhaego

  • Re-establishing Balhae within Korean History: As the first systematic study to restore Balhae within Korean history, Balhaego laid the foundation for future Balhae studies. The concept of the "Era of the Northern and Southern States" has become a significant part of Korean history education.
  • Inspiring National Pride: Through Balhae history, Yu Deuk-gong emphasized national pride and encouraged Koreans to take pride in their heritage connecting Goguryeo and Balhae.
  • Completion of Silhak Historiography: Balhaego stands as a representative work of Silhak historical research, providing a model for empirical and objective historical writing.

5. Modern Evaluation and Influence

  • Connecting Korean and East Asian History: Balhaego is viewed as an important academic effort connecting Korean and East Asian history through the study of Balhae.
  • Foundation for Balhae Studies: Modern and contemporary studies of Balhae have developed based on the foundation laid by Yu Deuk-gong's Balhaego.
  • Expansion of Historical Awareness: Overcame the previous neglect of Balhae in Korean history and expanded historical awareness, making it a monumental work in historiography.

I hope this translation helps! If you have any more requests or need further information, feel free to let me kn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