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제13

파이코인(Pi Network) 파이코인(Pi Network)은 2019년 3월 14일(π 데이)에 스탠퍼드 대학교 출신의 연구진이 개발한 암호화폐 프로젝트이다.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채굴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의 비트코인(BTC)이나 이더리움(ETH)과 차별화된다. 파이코인은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하며, 중앙화된 금융 시스템에서 벗어나 탈중앙화된 경제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 파이코인의 탄생 배경1.1 개발팀파이코인은 스탠퍼드 대학 출신의 개발진이 주도하여 만든 프로젝트이다. 주요 창립 멤버는 다음과 같다.• 니콜라스 코칼리스(Nicolas Kokkalis): 파이 네트워크의 핵심 개발자이자 공동 창립자.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컴퓨터공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블록체인 기술을 연구했다.• 쳉디아오 판(Che.. 2025. 2. 20.
PBR (Price-to-Book Ratio, 주가순자산비율) PBR (Price-to-Book Ratio, 주가순자산비율)은 기업의 주가가 자기자본에 비해 얼마만큼 평가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투자자들이 기업의 가치 평가를 할 때 많이 사용합니다. PBR은 기업의 주식 가격이 기업의 **순자산(자기자본)**에 비해 얼마나 고평가되었는지 또는 저평가되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PBR 계산 방법PBR=주가주당순자산(BVPS)\text{PBR} = \frac{\text{주가}}{\text{주당순자산(BVPS)}}PBR=주당순자산(BVPS)주가​주가 (Price): 시장에서 거래되고 있는 기업의 주식 가격.주당순자산 (BVPS, Book Value per Share): 기업의 자기자본을 발행 주식 수로 나눈 값. 즉, 기업이 청산 시 주주에게 돌아갈 1주당 .. 2025. 2. 9.
리보금리(LIBOR, London Interbank Offered Rate) 리보금리(LIBOR, London Interbank Offered Rate)는 국제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단기 이자율 중 하나로, 런던의 주요 은행들이 서로 돈을 빌려줄 때 적용하는 이자율을 의미합니다. 이는 다양한 만기와 통화에 대해 설정되며, 금융 시장에서의 다양한 거래와 금융 상품의 기준금리로 활용됩니다.  리보금리의 정의와 역할리보금리는 국제금융시장에서 은행들이 서로 자금을 빌려주는 데 적용하는 금리를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시장에서 은행 간 자금 조달 비용을 알 수 있으며, 은행 간 거래의 신뢰성을 평가할 수 있는 중요한 기준으로 작용합니다.리보금리는 기본적으로 각종 금융 상품(예: 대출, 채권, 파생상품 등)의 금리를 결정하는 데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대출을 받을 때 리보금리를 기.. 2025. 2. 9.
6차 산업 6차 산업은 기존의 1차 산업(농업, 어업, 임업 등)과 2차 산업(제조업), 그리고 3차 산업(서비스업)을 결합한 융합 산업을 의미합니다. 이 개념은 농업 등 전통적인 산업에 가공과 서비스를 더하여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방식으로, 단순한 원료 생산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이를 가공하거나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경제적 가치를 증대시키는 모델입니다.   1. 6차 산업의 정의6차 산업은 1차 산업(자원의 생산) + 2차 산업(자원의 가공) + 3차 산업(자원의 유통과 서비스)을 결합하여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산업 모델을 말합니다. 이를 통해 농업, 어업, 임업 등의 1차 산업에서 생산한 자원을 가공, 유통, 서비스 제공을 통해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것입니다.예를 들어, 농산물을 생산하는 농부가 .. 2025. 2. 4.
CPTPP(Comprehensive and Progressive Agreement for Trans-Pacific Partnership) CPTPP(Comprehensive and Progressive Agreement for Trans-Pacific Partnership), 포괄적이고 점진적인 환태평양 경제 동반자 협정)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주요 국가들이 체결한 자유무역협정(FTA)입니다. 이 협정은 TPP(Trans-Pacific Partnership)의 개정판으로, 일부 조항을 제외하고는 기존 TPP의 내용을 그대로 계승하고 있습니다. CPTPP는 세계 경제의 약 13%를 차지하는 거대한 경제 블록을 형성하며, 참여 국가들 간의 무역과 경제 협력을 강화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1. CPTPP의 배경과 역사TPP는 원래 2005년에 브루나이, 칠레, 뉴질랜드, 싱가포르 등 4개 국가가 협상을 시작한 자유무역협정이었습니다. 이후.. 2025. 1. 5.
GNP(Gross National Product, 국민총생산) GNP(Gross National Product, 국민총생산)는 한 국가 내에서 일정 기간 동안 생산된 모든 최종 재화와 서비스의 시장 가치를 모두 합산한 경제 지표입니다. GNP는 주로 해당 국가의 경제 규모와 성장률을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GNP는 국내에서 생산된 재화와 서비스뿐만 아니라, 해외에서 자국민이 벌어들인 소득도 포함합니다. 즉, 자국의 기업과 개인이 외국에서 얻은 소득을 포함하고, 외국인이 자국에서 벌어들인 소득은 제외합니다.  GNP의 주요 특징국민의 소득을 포함: GNP는 자국민이 외국에서 얻은 소득도 포함하므로, 국민 총소득의 개념과 밀접하게 연결됩니다. 예를 들어, 자국의 기업이 외국에서 얻은 이익이나 해외에 거주하는 자국민의 소득을 포함합니다.국내 생산 외에도 해외 소득 포함.. 2024. 12. 21.
스마트그리드(Smart Grid) 스마트그리드(Smart Grid)는 전력망(전기 공급망)을 디지털 기술을 통해 자동화하고 최적화하는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기존의 전력망은 전기 공급과 소비를 일방적으로 관리하는 형태였으나, 스마트그리드는 전력 공급과 소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며, 효율성과 안정성을 높이고, 재생 가능 에너지를 적극적으로 통합할 수 있는 시스템입니다.스마트그리드는 전력의 생산, 분배, 소비 과정에 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하여 전력망을 지능적으로 관리하고 최적화합니다. 이는 전력망의 안정성, 효율성, 신뢰성을 높이고, 에너지 절약, 환경 보호 등의 장점을 제공합니다.  1. 스마트그리드의 주요 특징스마트그리드는 기존의 전력망에 비해 여러 가지 혁신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양방향 통신: 기존 전력망은 전.. 2024. 12. 18.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Asia-Pacific Economic Cooperation)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경제 협력과 자유무역을 촉진하고, 지역 내 경제 성장을 도모하기 위해 설립된 다자간 경제 협력 기구입니다. 1989년 호주 캔버라에서 첫 회의가 열렸으며, 현재 21개 회원국(회원 경제체)이 참여하고 있습니다.  APEC의 주요 목적경제 성장 및 번영 촉진회원국 간의 무역 및 투자를 자유화하고 경제 협력을 통해 지역 번영 도모.무역과 투자 자유화관세, 무역 장벽, 투자 제한 등을 제거하여 자유롭고 공정한 시장 환경 구축.경제 기술 협력기술 및 경제 격차를 줄이고, 특히 개발도상국의 경제 개발을 지원.지역 안정성 확보경제 협력을 통해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안정과 평화를 유지.지속 가능성 및 포용적 성장환경 보호, 에너지 효율, 디지털 경제, 인적 자원.. 2024. 12. 13.
그레셤의 법칙(Gresham's Law) 그레셤의 법칙(Gresham's Law)은 경제학에서 중요한 법칙 중 하나로, 통화와 관련된 이론입니다. 이 법칙은 16세기 영국의 경제학자 토마스 그레셤(Thomas Gresham)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주로 통화의 질이 시장에서 어떤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설명합니다.  1. 그레셤의 법칙의 정의그레셤의 법칙은 "나쁜 돈이 좋은 돈을 몰아낸다"는 원칙을 기반으로 합니다. 즉, 가치가 낮거나 품질이 나쁜 화폐(나쁜 돈)는 가치가 높거나 품질이 좋은 화폐(좋은 돈)와 동일하게 유통되기 시작할 때, 사람들이 좋은 돈을 시장에서 유출시키고, 나쁜 돈만 시장에 남게 된다는 것입니다. 이 현상은 주로 동전과 같은 금속 화폐의 품질과 관련하여 발생하지만, 오늘날에는 더 넓은 경제적 현상으로 해석될 수 .. 2024. 12. 11.
디커플링(Decoupling) 디커플링(Decoupling)은 본래 물리학 용어로 "서로 연결되었던 시스템이나 관계가 분리되는 현상"을 뜻합니다. 경제와 산업, 국제 관계 등에서 사용될 때는 특정 요소 간 상관관계가 약화되거나 단절되는 상황을 설명합니다.이 개념은 특히 글로벌화와 탈글로벌화, 경제와 환경, 기술과 사회적 변화 같은 맥락에서 중요하게 다뤄집니다.  디커플링의 주요 분야별 의미1. 경제 및 무역에서의 디커플링의미: 국가 간 경제적 의존도가 낮아지는 현상. 특히, 미국-중국 간 디커플링이 대표적 사례로 언급됩니다.과거: 글로벌화가 진행되면서 주요 국가들이 상호 의존적인 무역 관계 형성.현재: 지정학적 갈등, 보호무역주의, 기술 패권 경쟁 등으로 인해 국가 간 경제적 분리가 가속화.주요 예시:미국이 중국산 반도체에 대한 의존.. 2024. 12. 11.
규모의 경제(Economies of Scale) 규모의 경제(Economies of Scale)는 기업이나 조직이 생산 규모를 확장함으로써 단위당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이는 생산량이 증가할수록 제품이나 서비스 한 단위를 생산하는 데 드는 평균 비용이 감소하는 경제적 이점을 나타냅니다. 규모의 경제는 기업이 커질수록 효율성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이유에서 발생합니다.규모의 경제가 발생하는 주요 이유고정비용 분산: 대규모 생산에서는 고정비용(예: 공장 설비, 연구개발 비용 등)이 더 많은 제품에 걸쳐 분산됩니다. 예를 들어, 공장을 세우는 데 드는 비용이 100만 달러이고, 생산량이 1,000대에서 10,000대로 증가할 경우, 제품 한 대당 고정비용이 1,000달러에서 100달러로 감소하게 됩니다.운영 효율성: .. 2024. 8. 30.
공유경제란?(The sharing economy) 공유경제(Sharing Economy)는 자원, 재화, 서비스 등을 소유자와 필요로 하는 사람 사이에서 공유하거나 교환하는 경제 모델입니다. 이는 주로 기술 플랫폼을 통해 이루어지며, 소유자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공유경제의 주요 개념과 요소를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주요 개념1. 자원의 효율적 사용: 공유경제는 자원의 유휴 시간을 줄이고, 필요할 때만 자원을 사용함으로써 효율성을 극대화합니다. 예를 들어, 자동차를 소유한 사람이 필요하지 않을 때 다른 사람에게 빌려주는 것이 대표적입니다.2. 플랫폼 기술: 디지털 플랫폼은 공유경제의 핵심입니다. 이러한 플랫폼은 소유자와 사용자를 연결하고, 거래를 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예를 들어, 에어비앤비(Airbnb)나 .. 2024. 7. 24.
골디락스 현상(Goldilocks phenomenon) "골디락스 현상"(Goldilocks phenomenon)은 경제, 천문학, 생물학 등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 어떤 조건이 너무 과하거나 부족하지 않고 적당하게 맞아떨어지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 용어는 영국의 전래 동화 "골디락스와 곰 세 마리"에서 유래했습니다. 동화에서 골디락스는 너무 뜨겁거나 차갑지 않고 적당히 따뜻한 죽을 찾고, 너무 크거나 작지 않고 적당한 의자와 침대를 찾습니다. 이러한 "적당한" 상태를 의미하는 용어가 여러 학문 분야에 적용됩니다.경제학에서의 골디락스 경제경제학에서 "골디락스 경제"는 경제가 과열되지도 않고 침체되지도 않은, 적당한 성장과 안정적인 물가를 유지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 상태는 지속 가능한 성장과 낮은 실업률을 특징으로 하며, 중앙은행이나 정부 정책.. 2024. 7. 12.
반응형